* 참고 : https://netxhack.com/dns/ 제공자국내/해외구분주소KT 국내기본168.126.63.1보조168.126.63.2SK 국내기본210.220.163.82보조219.250.36.130LG U+국내기본164.124.101.2보조203.248.252.2CloudFlare(개인적으로 추천)해외기본1.1.1.1보조1.0.0.1멀웨어 차단1.1.1.21.0.0.2멀웨어 + 성인 사이트 차단1.1.1.31.0.0.3Google해외기본 8.8.8.8보조8.8.4.4Quad9(개인적으로 추천)해외기본9.9.9.9 멀웨어 차단 9.9.9.11 149.112.112.11보안 없음9.9.9.10149.112.112.10Adguard해외광고 + 트래킹 + 피싱 차단94.140.14.1494.140.15..
아래의 그림과 같이 jenkins 로 구성해둔 item 의 기록을 초기화 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. 'Jenkin 관리' 화면으로 이동 후, 'Script Console' 를 클릭 한다. 나타나는 화면에서 아래의 스크립트를 입력 하고, '실행' 버튼을 클릭 한다. item = Jenkins.instance.getItemByFullName("")item.builds.each() { build -> build.delete()}item.updateNextBuildNumber(1) 아래는 item 전체의 BUILD_NUMBER 를 초기화 하는 스크립트 item = Jenkins.instance.getAllItems().each() { item -> item.builds.each() { buil..
처음에는 플러그인이 있는데, 굳이 pipeline를 사용 해야 하나 싶었다.그렇지만, jenkins 버젼에 따라 사용할 수 없는 plugin 이 생기거나, 보안 문제 등으로 plugin 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기는 경우를 대비 하여 pipeline 사용법을 익혀 두는게 좋을 것 같았다. plugin 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건 좋지 않다고 생각 한다. 과거의 jenkins 버젼에서는 pipeline plugin 을 설치해 주어야 한다고 하는데, 현재 사용중인 2.504.3 버젼에서는 기본적으로 설치 되어 있었다. 진행 하다 보니,- pipeline 복잡하고 어렵지 않을까 생각 했었는데, 다른 개발자 분들도 검색 잘 하면 반나절이면 익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.- pipeline 으로 구성 해야 할 작업..
1. jenkins 계정 생성 [ root@jenkins ] ~ # useradd -s /bin/bash -m jenkins; echo 'PaSsW0rD!@#$' | passwd --stdin jenkins 2. jenkins 계정 로그인[ root@jenkins ] ~ # su - jenkins 3. openjdk 내려 받기 및 PATH 설정 jenkins 를 구동 시키기 위한 jdk를 내려 받는 단계이다. [ jenkins@jenkins ] ~ $ wget https://download.java.net/java/GA/jdk17.0.2/dfd4a8d0985749f896bed50d7138ee7f/8/GPL/openjdk-17.0.2_linux-x64_bin.tar.gz [ jenkins@je..
PostgreSQL 17 버젼에 대한 기초 학습을 진행 하면서, 기록으로 남겨 두는 문서. 1. 원격 접근 가능 설정pg_hba.conf 파일을 백업 해 두고 수정 한다.host all all 127.0.0.1/32 scram-sha-256위와 같은 부분을 찾아 아래와 같이 수정 한 뒤, 서비스 재시작host all all 0.0.0.0/0 scram-sha-256 2. 서버 관련 설정postgresql.conf 파일을 백업 해 두고 수정 한다. 항목들의 적당한 값으로 수정 한다.port=5432lc_messages = 'C' # 한글 메세지가 깨지는 경우..
root@freecatz-web:~# openssl x509 -dates -in /etc/letsencrypt/live/freecatz.pe.kr/fullchain.crtnotBefore=Apr 12 12:46:13 2024 GMTnotAfter=Jul 11 12:46:12 2024 GMT root@freecatz-web:~# openssl x509 -dates -in /etc/letsencrypt/live/freecatz.pe.kr/fullchain.pem notBefore=Apr 12 12:46:13 2024 GMT notAfter=Jul 11 12:46:12 2024 GMT
* 참고 1 : 만약 AWS 의 ALB 를 사용중이라면, ALB 에도 SSL 인증서 관련 설정이 필요 하다. 1. SSL 인증 받기 전upstream undertow_web { server 192.168.0.10:9090 weight=1 max_fails=3 fail_timeout=5s; server 192.168.0.10:9091 weight=1 max_fails=3 fail_timeout=5s; server 192.168.0.11:9090 weight=1 max_fails=3 fail_timeout=5s; server 192.168.0.11:9091 weight=1 max_fails=3 fail_timeout=5s; server 192.168.0.12:9090 weight..
using System.Security.Cryptography; using System.Text; public class Util{ /* AES128 암호화 msg = AES128 암호화 대상 문자열 key = AES128 암호화에 사용할 16자리의 키 문자열 */ static String? AES128ENC(String msg, String key) { String? res = null; try { RijndaelManaged aes = new RijndaelManaged(); aes.KeySize = 256; aes.BlockSize = 128; aes.Mode = CipherMode.CBC; aes.Padding = PaddingMode.PKCS7; aes.Key = Encoding.UTF8.Get..
gulp 는 node.js 기반의 프로세스 자동화 도구 라고 한다. 여러 문서를 읽어 보니 단순, 반복적인 태스크 들을 실행해 준다는 느낌이 들었다. gulp 를 이용 하려는 목적은 기존에 작성된 spring boot 프로젝트에 포함된 javascript, css 의 minify(uglify) 하기 위해서다. 비슷한 도구들로는 webpack 외 많이 있었지만, 소규모 프로젝트에는 gulp가 적합 하다고 하여 사용해 보았다. 1. node.js 설치 https://nodejs.org/en/download 에 방문 하여, 개발 환경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한다. 설치 과정에 특별한 사항은 없으므로 생략 한다. 본인의 경우 Windows Binary 64bit zip 파일을 받아 압축 해제 하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Flutter
- devtools
- JavaScript
- HTTP
- gpkiapi
- ssh
- development
- springboot
- Android
- SSL
- MySQL
- TIP
- kotlin
- food
- place
- dart
- Spring
- 맛집
- samba
- 엘리스센터
- web
- Review
- Java
- Mobile
- Fun
- json parse
- Compile
- Security
- devel
- Linux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
| 30 |